안녕하세요!
댕냥급제입니다. :)
간문맥단락증 3편은 잘 보고 오셨나요?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 와주세요.
목차
이번 편에서는 간 문맥 단락증(PSS)의 치료방법과 예후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간 문맥 단락증(PSS)의 유일한 치료방법은 수술밖에 없습니다.
간 문맥 단락증의 수술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아요~!
1. 간문맥단락증의 치료 : 아메로이드 링을 이용한 수술
아메로이드 링(Ameroid ring)이라고 불리는 기구를 장착함으로써 서서히 단락혈관을 폐쇄시켜 주는 방법이 있어요.
아메로이드 링은 단락혈관의 크기에 맞춰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CT 검사 진행 후 단락혈관에 적합한 Ameroid ring을 준비해야 해요.
따라서 CT검사 진행 며칠 후 재마취를 통해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아메로이드 링의 수축 장치는 카제인 코어가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링으로 구성됩니다.
카제인은 복수를 흡수하고 부풀어 오른 다음 섬유 조직 반응을 일으켜요.
아메로이드 링의 수축 장치는 션트(단락 혈관)를 2~4주에 걸쳐 점차적으로 협착되도록 해요.
션트가 갑자기 완전하게 닫힐 경우 간문맥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2. 간문맥단락증의 치료 : 셀로판 밴드를 이용한 수술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아메로이드 링은 CT 검사와 수술을 따로 해야 하기 때문에 마취를 2번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셀로판 밴드를 이용하여 수술하는 방법이에요.
셀로판 밴드를 이용한 수술의 장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1) 아메로이드 링보다 가볍고 유연해 단락혈관 위치에 접근하기 쉬워요.
2) 모든 사이즈의 단락혈관에 적용이 가능해요.
3) 아메로이드 링보다 가벼워요.
4) 단락혈관이 링에 의해 꺾이지 않아 술후 문맥고혈압 발생률이 낮아요.
5) 아메로이드 링보다 저렴해요.
6) 고압멸균기를 통해 멸균이 가능해요.
7) 밴드가 유연하기 때문에 수술 중 단락혈관을 포함한 조직에 자극이 적고 사용이 간편해요.
8) 밴드 장착 후 사용하는 지혈 클립을 통해 술 후 방사선 모니터링이 가능해요.
아메로이드 링과 마찬가지로 셀로판 밴드는 션트를 닫는 섬유화를 일으켜요.
앞서 션트가 갑자기 완전히 닫혀버리면 간문맥 고혈압으로 사망 가능성이 있다고 했죠?
그래서 셀로판 밴드의 직경은 간문맥 고혈압을 방지하기 위해 션트의 직경보다 커야 해요.
위 사진과 같이 션트를 셀로판 밴드로 감은 후 혈관 클립으로 고정해 준답니다.
3. 간문맥단락증의 수술 후 예후
개에서 아메로이드 링 수술이나 셀로판 밴드 수술 후 약 85%에서 4개월 이내에 임상적인 정상이 나타날 정도로 예후가 좋아요.
또한, 1년 령 이하의 개가 2년 령 이상의 개보다 예후가 좋습니다.
특히, 환자가 수술 후 2일간 살아남고 션트의 완전 결찰이 이루어진다면 예후가 매우 훌륭한 편이에요.
간 내 션트의 경우 수술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술 사망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4. 간문맥단락증의 치료 : 내과적 관리
수술 전 임상증상의 완화를 위해 내과적 처치를 합니다.
PSS의 내과적 처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아요!
(1) 단백질 제한 식이
단백질이 소화되며 생기는 독성물질인 ‘암모니아’를 줄이기 위해서 단백질 제한 식이를 해요.
(2) 락툴로스
락툴로스는 당의 일종이에요.
하지만, 포유동물에서는 소화가 되지 않는답니다.
장에 사는 균에 의해 작은 지방산으로 분해가 되는데요,
이 분해 산물이 장의 내용물을 산성화 시키고 장의 암모니아 이온을 잡아준답니다.
(3) 항생제
뇨관의 감염이나 다른 감염으로부터 예방/치료해 주기 위해 항생제를 처치해 줍니다.
오늘은 간 문맥 단락증(PSS)의 치료방법과 예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자궁축농증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댕냥급제였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려동물 질병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자궁축농증 치료 (3) | 2024.09.10 |
---|---|
강아지 자궁축농증 진단 (5) | 2024.09.08 |
강아지 자궁축농증 증상 (2) | 2024.09.06 |
강아지 자궁축농증 원인 (0) | 2024.09.04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진단 (0) | 2024.08.31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증상 (1) | 2024.08.29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원인 (0) | 2024.08.27 |
강아지 동맥관 개존증(PDA) 치료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