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질병사전

강아지 자궁축농증 진단

by 뚜부형아 2024. 9. 8.

 

안녕하세요 댕냥급제입니다. :)

오늘은 아이들에게서 자궁축농증이 어떻게 진단되는지 알아볼 거예요.


자궁축농증이 어떤 질병인지, 또 어떤 증상인지를 알고 있다면 이해하기 더 쉽겠죠?

지난 1편, 2편에 자세한 내용들이 나와있으니 아직 보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살펴보실 수 있어요!

 

https://ddububrother.tistory.com/entry/%EA%B0%95%EC%95%84%EC%A7%80-%EC%9E%90%EA%B6%81%EC%B6%95%EB%86%8D%EC%A6%9D-%EC%A6%9D%EC%83%81

 

목차

     

    1. 신체검사

     

    우리는 지난 시간에 자궁축농증에는 '개방형 자궁축농증'과 '폐쇄형 자궁축농증'이 있다고 배웠어요.

     

    개방형 자궁축농증의 경우 자궁경부가 열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궁에서 증식 중인 세균에 의해 발생한 혈액성 또는 점액성 삼출물이 질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어요.

    보호자분들에게는 아이들의 회음부 또는 그 주위의 피부에 축축한 액체가 젖어있는 것으로 보이게 되지요.
    그렇다면 가구와 같은 아이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에도 삼출물이 묻어있는 경우가 있겠죠?

     

    폐쇄형 자궁축농증 어떨까요?
    폐쇄형 자궁축농증에서도 마찬가지로 세균에 의한 삼출물이 만들어져요.

    다만, 폐쇄형 자궁축농증에서는 자궁경부가 닫혀있기 때문에 삼출물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계속 자궁 내에 저류 된답니다.
    이러한 증상이 해소되지 못하면 자궁이 팽창되어 아이들을 봤을 때 마치 복부가 팽창되어 보일 수 있어요.

     

     

    2. 혈액검사

     

    자궁에서 증식하는 세균을 방어하기 위해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요.
    백혈구 중에서도 특히 호중구의 수가 증가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결과들이 혈액검사의 결과에 반영된답니다.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호중구'

     

    백혈구 이외에도 염증반응의 평가지표인 'CRP(C-reactive protein)'이 증가하고
    감마 글로불린의 증가, 알부민의 감소, 증식하는 세균(E. coli)에 의한 BUN의 증가 또한 관찰될 수 있어요.

     

    3. 요검사

     

    자궁에서 세균이 증식하게 되면 세균은 독소를 생성해요.
    그러한 독소들이 혈류를 통해 이동하다 보면 콩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답니다.

    콩팥은 오줌을 생성하는데 관여하고, 그러한 오줌을 일정한 농도로 농축시키는 역할을 해요.
    그런데 독소의 영향을 받은 콩팥은 오줌을 농축시키는 능력이 저하돼요.

    한 마디로 묽은 오줌이 만들어지는 것이죠.

     

     

    동물병원에서는 아이들 오줌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를 진행하는데요
    이 검사를 통해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오줌의 농도가 정상 이하로 낮아짐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이런 오줌의 농도를 '요비중(Urine Specific Gravity, USG)'이라고 표현해요.
    즉, 자궁축농증을 앓고 있는 아이에게서 USG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수치로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겠죠?

     

     

    4. 영상진단검사

     

    [강아지 자궁축농증 개요]에서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자궁벽이 두꺼워지는 것이 자궁축농증이 발생하는 첫 번째 조건이었다는 점 기억하시나요?

     

    동물병원에서는 영상진단검사를 통해 자궁이 얼마나 두꺼워졌는지 살펴볼 수 있어요.

    먼저, X-ray 촬영에서는 자궁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부풀어있는지 살펴볼 수 있답니다.

     

    앞서 폐쇄형 자궁축농증의 경우에 복부가 팽창되어 보이는 것이 그 증상이라고 알아보았는데요
    복부팽창의 원인이 임신인지 자궁축농증인지 판별하는 것도 X-ray 촬영으로 가능해요.

    하지만 X-ray에서는 자궁벽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두꺼워져 있는지는 평가할 수 없답니다.
    그 점을 보완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진행하게 돼요.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는 자궁벽이 두꺼워진 정도를 수치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X-ray보다 초음파 검사가 자궁벽의 비후정도를 보기에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겠죠?

    아래 사진은 자궁축농증을 앓고 있는 강아지의 복부를 X-ray 촬영한 사진이랍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하실 수 있어요!

     

    자궁축농증으로 인해 팽창된 자궁 (개)

     

    오늘은 자궁축농증을 어떻게 진단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다음 [자궁축농증 4편]에서는 이렇게 자궁축농증을 진단받았을 때, 어떤 치료가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해요!

     

    https://ddububrother.tistory.com/entry/%EA%B0%95%EC%95%84%EC%A7%80-%EC%9E%90%EA%B6%81%EC%B6%95%EB%86%8D%EC%A6%9D-%EC%B9%98%EB%A3%8C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