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댕냥급제입니다.
동맥관 개존증 3편, 진단 편은 보고 오셨나요?
아직 보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 와주세요! :)
목차
1.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 치료의 중요성
동맥과 개존증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받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동맥관 개존증을 치료하지 않은 대부분의 강아지는 1살이 되기 전에 사망한다고 해요.
정말 무서운 질환이죠?
하지만, 수술 또는 시술을 실시할 경우 치사율이 큰 폭으로 줄어들어서, 진단 후 빠른 교정술이 필요한 질환이에요.
2.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 수술적 접근
교정술은 크게 수술과 중재적 시술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수술은 가슴을 열어(개흉) 동맥관을 직접 결찰 하는 것을 말해요.
중재적 시술은 가슴을 열지 않고, 다리의 커다란 혈관(대퇴동맥)을 통해 간접적으로 동맥관을 막아주는 것을 말해요.
수술
수술은 가슴을 열어 동맥관을 직접 결찰하는 방식으로, 가슴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큰 수술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시술에 비해 통증도 크고 회복도 느립니다.
나이가 들수록 혈관이 더욱 약해져 있기 때문에 수술 중 출혈과 혈관 파열 등의 위험성이 커져요.
동맥관을 수술적으로 결찰 했다면 동맥관 개존증이 완치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중재적 시술
중재적 시술은 가슴을 열지 않고, 주로 안쪽 허벅지를 절개하면 보이는 큰 혈관인 대퇴동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관으로 접근한 후 이식물을 넣어 동맥관을 간접적으로 막아줍니다.
중재적 시술은 수술에 비해 시술부위가 작기 때문에 통증도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요.
중재적 시술에는 대표적으로 Amplatzer Canine Duct Occluder(ACDO)가 있어요.
Duct occluder란 '관 폐쇄'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맥관을 막기 위해 넣어주는 이식물의 한 종류라고 보면 돼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술 결찰이나 다른 폐쇄술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고 해요.
하지만, 중재적 시술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수술/시술의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3. Reverse PDA
동맥관 개존증 2편 보고 오셨나요?
2편에서 R to L PDA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니 아직 보지 않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 오세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PDA라고 부르는 L to R PDA의 경우 위와 같은 수술이나 중재적 시술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L to R PDA가 더욱 진행되어 발생한 R to L PDA (reverse PDA, rPDA)의 경우 수술 또는 중재적 시술이 불가합니다.
reverse PDA는 동맥관을 통해 폐동맥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흐르는 경우를 말하죠.
폐동맥의 압력이 대동맥보다 높아져 발생하는 것이라고 배웠죠?
폐동맥의 압력이 높으면 폐동맥과 연결된 폐 또한 압력이 높아지는데, 이를 폐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이때, 동맥관을 통해 폐동맥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빠져나가고 있어서 그나마 폐고혈압이 낮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이나 시술을 통해 동맥관을 닫아 이 흐름을 차단하면 그만큼 폐동맥의 부담이 높아져서 폐고혈압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reverse PDA에서는 수술이나 시술이 불가한 것입니다.
4. 동맥관 개존증의 예후
동맥관 개존증은 적절한 시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으면 완치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하지만,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수술이 어려워지고, 수술을 하더라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해요.
특히 동맥관 개존증 수술은 생후 1년 안에 진행해야 예후가 좋고, 재발 가능성도 낮아 반려견이 다른 강아지와 큰 차이 없이 생활할 수 있어요.
치료를 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강아지가 1년 안에 사망하고, 살아남더라도 수명이 짧아 반드시 진단 후에는 빠르게 치료받아야 해요.
특히 R to L PDA가 L to R PDA에 비해 더욱 예후가 안 좋아요.
조기에 발견해 빠르게 치료하면 얼마든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니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동물병원에서 심장 청진을 받아볼 것을 추천해요.
'반려동물 질병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치료 (3) | 2024.09.02 |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진단 (0) | 2024.08.31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증상 (1) | 2024.08.29 |
강아지 간문맥단락증 PSS 원인 (0) | 2024.08.27 |
강아지 동맥관 개존증(PDA) 진단 (0) | 2024.08.19 |
강아지 심장병 : 동맥관 개존증(PDA) 증상 (0) | 2024.08.17 |
동맥관 개존증(PDA) 개요 (0) | 2024.08.15 |
강아지 말라세지아 치료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