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질병사전

강아지 말라세지아 치료

by 뚜부형아 2024. 8. 13.

 

안녕하세요. 댕냥급제입니다!

오늘은 어제 말라세지아 1편에 이어서 말라세지아 치료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아직 1편을 보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말라세지아에 대해 읽어볼 수 있어요!

 

http://ddububrother.tistory.com/entry/%EA%B0%95%EC%95%84%EC%A7%80-%ED%94%BC%EB%B6%80%EB%B3%91-%EB%A7%90%EB%9D%BC%EC%84%B8%EC%A7%80%EC%95%84

 

목차

    기저질환 치료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말라세지아가 과증식 하게 된 배경이에요.

    1편에서 알레르기나 호르몬 질환, 아토피 등에 의해 말라세지아가 과증식 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죠?

    그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음식 알레르기에 의해 피부 면역에 문제가 발생해 말라세지아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되어 과증식 한다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음식을 끊거나 원래 먹던 사료를 저알러지 사료로 바꾸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 주어 말라세지아가 더 이상 잘 자랄 수 없는 환경으로 면역력 있는 몸이 되게 해주는 것이에요.

     

    항진균제

    다음은 말라세지아를 없애주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말라세지아는 진균류에 포함되는 효모이기 때문에 치료제로 항진균제를 사용해요.

    항진균제는 말 그대로 진균에 유효한 약물들로 많이 사용하는 약물에는 테르비나핀, 이트라코나졸 등이 있어요.
    하지만 이러한 약들은 보통 중증인 경우 경구약으로 많이 쓰이는 약물들이에요.
    또한 간이나 신장에 부담을 주어 간기능이나 신기능이 손상된 아이들에게는 투여에 신중해야 하죠!

     

    증상이 가벼운 경우 국소요법으로 항진균성 연고를 발라주거나 항진균성 샴푸를 이용하여 2~3일에 한 번씩 목욕시켜주는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이때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있는데 샴푸에서는 특히 클로르헥시딘이라는 성분을 많이 이용합니다.

     

    샴푸는 한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것보다는 두 가지 성분이 합쳐진 것이 더 효능이 좋다고 하는데요. 아래 '케토클로 샴푸'도 항진균제인 케토코나졸과 클로르헥시딘이 합쳐진 샴푸예요!

    버박의 케토클로 샴푸

     

    그리고 1편에서 본 것처럼 말라세지아와 함께 '포도상구균'이라는 세균도 함께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서 치료 시 항생제를 함께 처방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또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털을 밀어주어야 해요. 우리 반려동물의 털들이 균이 숨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서 치료를 지연시킬 수 있어요.

     

    치료 시 주의사항

    먼저 말라세지아는 면역력이 낮은 사람, 어린아이에게도 감염될 수 있어요. 그렇기에 주변에 이런 사람이 있다면 감염된 반려동물과 거리를 두도록 하고 항진균성 연고를 발라줄 때는 장갑을 끼도록해주세요.

     

    치료를 시작하면 보통 1~2주 이내 임상적 증상이 개선되는 게 보여요. 하지만 이때는 완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해요. 말라세지아 치료는 최소 4~6주 정도의 장기간이 걸리는 것을 알아두어야 해요. 그리고 장기간의 치료동안 경구약을 먹는다면 주기적인 간수치도 체크해주어야 해요. 앞서 말한 것처럼 치료에 사용하는 항진균제는 간이나 신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에요.

     

    또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할 때는 Pulse therapyASIT(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를 이용할 수도 있어요.
    Pulse therapy는 치료효과를 향상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많은 양의 약물을 간헐적으로 투여하는 것이고, ASIT는 반려동물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특정 알러젠을 확인하고 해당 알러젠을 적은 양으로 천천히 주입하거나 접촉시켜 알러젠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일어났던 알레르기를 완화시켜 주는 방법이에요.

     

    말라세지아 감염 상황은 개체마다 다르고, 재발이 잘 일어나는 감염증인 만큼 치료 시 수의사의 진단과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해요!

     

    오늘은 말라세지아 감염증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