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댕냥급제입니다 :)
먼저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질문 하나 드리면서 시작해 볼까 해요.
여러분 '림프절'이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죠? 그렇다면 림프절이 무엇인가요?

림프절! 많이 들어는 봤지만 막상 대답하려고 하면 알 것 같으면서도 구체적으로 말하기 힘들고 막막해지지는 않으셨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림프절은 아이들의 전신 면역을 담당하고 있는 일종의 면역기관이랍니다.
오늘은 그런 림프절에 대해 핵심적인 내용들만 쪽쪽 뽑아서 살펴보도록 해요.
목차
1. 림프절이란?
앞에서 조금 맛보기로 말씀드린 것처럼 림프절은 아이들의 전신 면역을 담당하는 면역기관이에요.
면역기관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살펴볼 림프절과 관련이 깊은 기관은 림프기관인데요
림프기관은 아이들의 체내에 돌아다니는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B림프구와 T림프구가 생성되는 1차 림프기관과
1차 림프기관에서 생성된 림프구들이 이동하여 증식 또는 활성화되는 2차 림프기관으로 분류할 수 있답니다.
여기서 골수와 흉선이 1차 림프기관에 해당하고, 비장과 오늘 우리가 살펴보고 있는 림프절이 2차 림프기관에 해당한답니다.
2. 림프절의 분포
위의 사진에서 콩처럼 유독 둥글게 보이면서 'Node'라고 표시된 구조가 림프절이에요.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림프절은 아이들의 체내 곳곳에 분포하고 림프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답니다.
크기가 작은 이물,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가 림프관에 유입되고 림프액의 흐름을 따라 림프절로 흘러들어 가면
림프절에서 증식과 활성화 과정을 거친 B림프구와 T림프구 같은 면역세포들이 병원체들을 공격하고 제거한답니다.
이렇게 면역반응이 진행되는 림프절들은 그렇지 않은 림프절보다 크기가 커지게 돼요.
다양한 림프절 중에서도 특히 아이들의 체표에 위치하고 있는 대표적인 림프절들이 있어요.
① 아래턱림프절 (Submandibular lymph nodes)
② 어깨앞림프절 (Prescapular lymph nodes)
③ 겨드랑림프절 (Axillary lymph nodes)
④ 서혜림프절 (Inguinal lymph nodes)
⑤ 오금림프절 (Popliteal lymph nodes)
이러한 림프절들은 아이들이 건강할 때는 크기가 작아 잘 만져지지 않지만
감염소견이 있거나 염증반응이 있을 때는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림프절의 크기가 커져 있기 때문에 만지기가 쉬워진답니다.
수의사선생님들이 기본 신체검사 시에 이러한 림프절들을 자주 만져보시는데요
평소에 잘 만져지지 않는 림프절이 만져진다면 혹시 아이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는 않았나 의심해 볼 수 있답니다.
3. 유선종양과 관련된 림프절
자, 지금까지 면역기관으로서의 림프절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다음 시간에는 유선종양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하는데요, 유선종양과 관련해서도 림프절이 아주 중요하게 관계된답니다.
그래서 유선종양과 림프절과의 관련성을 간단히만 살펴보고 마무리하도록 할게요.
림프절은 아이들의 면역기관으로서 크기가 작은 세균, 바이러스, 이물 등을 공격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고 배웠어요.
그런데 종양은 이런 감염성 질병이 아닌데 림프절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걸까요?
앞서 '2. 림프절의 분포'에서 아이들의 몸속에 분포에 있는 림프절과 림프관이 나타난 사진 기억나시나요?
바로 이러한 림프계통의 기관과 조직들이 아이들의 몸 '곳곳에' 분포되어 있다는 특징이 중요하답니다.
또 하나의 그림을 살펴볼게요.
위의 그림은 암컷 강아지의 유선을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에요.
강아지는 5쌍의 유두 및 유선조직을 가지고 있고, 머리에 가까운 순서대로 1번부터 5번까지의 번호가 붙여 각 유선의 위치를 표현해요.
위 그림처럼 1, 2, 3번 유선은 겨드랑림프절과, 4, 5번 유선은 서혜림프절과 이어져 있어요.
종양은 주변 조직이나 장기에 전이가 되느냐, 되지 않느냐에 따라
전이되지 않는 종양은 양성 종양, 전이되는 종양은 악성 종양이라고 분류해요.
만약 아이에게 유선종양이 생겼는데 주변 조직으로 전이될 수 있는 악성종양이라고 가정해 볼게요.
이때 유선종양에서 종양세포가 전이될 수 있는 주요한 통로가 겨드랑림프절과 서혜림프절이 된답니다.
조금 뒤에서 배우겠지만, 만약 5번 유선에 악성 유선종양이 발생했다면
치료를 위해 5번 유선과 같은 서혜림프절과 연결된 4번 유선을 함께 절제해야 하는 수술을 받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이죠.

오늘은 아이들의 면역기관 중 하나인 림프절에 대해 알아보고 마지막에는 다음 시간에 배울 유선종양과 림프절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 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어요.
갑자기 무시무시한 암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조금 무겁게 오늘 내용을 마무리하게 된 것 같아요.
하지만 유선종양은 강아지에서 대표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암 질환이니, 오늘 배운 림프절과의 관련성에 대해 꼭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유선종양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가 볼게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안녕~
'반려동물 질병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와 예후 (3) | 2024.11.25 |
---|---|
강아지 갑상선기능저하증 진단 (2) | 2024.11.22 |
강아지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 (0) | 2024.11.18 |
강아지 갑상선기능저하증 개요 및 원인 (1) | 2024.11.15 |
강아지, 고양이 갑상선 개요 (0) | 2024.11.11 |
반려동물 치주 질환의 치료 및 예방 (1) | 2024.11.08 |
강아지 치주질환: 증상 및 진단 (2) | 2024.11.04 |
반려동물 치주 질환의 개요 및 원인 (3) | 2024.11.01 |